⎮ PDT는 무엇인가요?

광역학 치료 (PDT)는 세포내에서 광독성을 유발하여 악성세포내 세균/바이러스를 사멸하여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위해서 세포내의 산소와 빛 그리고 감광성 화학 약품을 이용하는 광선 요법의 형태이며, PDT는 (악성)세포 및 박테리아, 곰팡이/바이러스를 포함한 미생물 세포를 죽이는 능력이 입증되 종양의 치료 뿐 아니라, 인간의 피부 및 여드름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동물의 피부염증을 치료하는데 적용하고 있습니다.  PDT는 현재 사람의 피부종양 뿐 아니라 장기 내부의 종양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고, 증가히고 있는 동물의 종양 / 염증치료에 적용되고있는 의료기술입니다.


광 역학 치료법의 장점은 복잡한 수술을 필요하지 않고 약물주입과 광선(레이저)의 조사 만으로 치료하여 치료 후 긴 회복 및 흉터 조직을 최소화 합니다.

⎮ PDT 역사 (PDT History)

  1. PDT (Photodynamic Therapy)의 역사는 1898년 독일 뮌헨에서 의대생이던 Oscar Raab이 acridine dye를 실험하던 중 acridine red에 착색된 짚신 벌레가 빛에 노출되어 죽게 되는 것을 발견
  2. 1904년 그의 스승인 Von Tapeiner에 의해 광과민 반응에 산소가 필요하게 됨을 알게 되었고, 최초로 "photodynamic action (광역동 작용)"이라는 용어를 사용
  3. 1978년 Thomas Dougherty 등에 의해 기존의 치료에 반응하지 않던 피부 악성 종양환자 25명에 대해 처음으로 시도
  4. 광역동 치료는 198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연구되어 1990년대 들어 캐나다, 독일, 일본 등에서 임상시술이 승인
  5. 미국의 FDA가 Porfimer sodium을 1996년 1월에 식도암 치료 허가
  6. 1997년 9월에는 초기 폐암치료에 대해 승인
  7. 1996년 초 통계에 의하면 약 32개국에서 3000건 정도의 광역동 치료를 시행
  8. 현재 광역동 치료는 수술 후 기능적, 미용적 결함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내시경을 통하여 레이저를 전달할 수 있어 폐암, 식도암, 대장암, 위장암, 방광암, 두경부암, 자궁암 등에 광역동 치료법을 이용
⎮ PDT(Photo Dynamic Therapy) 치료 과정

1. 광감작제를 주사하면 일정 시간 후 약물이 종양 부위에 축적

2. 축정된 부위에 치료 파장의 레이저 조사

3. 광감작제가 치료 파장의 빛 에너지 흡수 후 방출 (형광, 진단용) 및 주변 산소에 전달 (PDT)

4. 주변 산소의 활성화 (일항 산소) 및 자유 라디칼 생성

5. 생성된 활성산소와 자유라디칼이 주변 종양을 파괴

6. 선택적으로 종양 치료

출처 : Biosci Rep (2015) 35 (6): e00265.